study2011. 7. 30. 16:50
Python 3에서 Beautiful soup을 바로 사용할 수가 없는데 python 2에서 python 3으로 넘어오면서 문법이 많이 변경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Beautiful soup을 사용하기 위해선 python 3 문법으로 변경을 해 줘야 한다.

pytohn 3에서는 2to3.py 라는 스크립트를 제공한다. 2.X용 코드를 3.X로 바꿔준다.
단. 2to3가 만능은 아니다. 2to3에서 변환을 못하는 부분은 직접 변경 해줘야 한다.

다행이도 Beautiful soup 3.1 이후 버젼 부터는 2to3로 자동으로 변경되게 수정을 했다고 한다.
우선 Beautiful soup 코드를 다운 받고 다음 명령어를 수행한다.

D:\project\test>c:\Python32\python.exe c:\Python32\Tools\Scripts\2to3.py -w BeautifulSoup.py

-w옵션을 꼭 써줘야 하는데 -w를 쓰지 않으면 수정할 부분만 화면에 출력되고 정작 파일은 변경되지 않는다.

python 3용으로 변경한 Beautiful soup 3.1 버젼을 첨부파일에 추가했다.
Posted by 평면우주
universe2011. 7. 26. 15:25


캘리포니아, Pasadena의 나사 젯연구소에서 화성탐사선 "Curiosity"의 여러가지 테스트를 하고 있다.
나사는 "curiosity"를 2012년 8월달에 화성에 착륙 시킬 예정이다.

놀라운 것은 새로운 로버(rover)의 크기인데 아래 사진을 보면 이전 탐사선인 오퍼튜니티와 비교를 할 수 없을 정도로 크기가 커졌다. 아래 사진 참고
이런 거대한 것을 화성까지 보내는 나사의 기술이 정말 부럽다.


 
내가 호기심군("curiosity" 내 나름대로 애칭을 만들어 봤다.)을 관심있게 보는 이유는 소프트웨어에 있다.
화성탐사선은 화성의 위성을 통해 지구와 통신을 하는데 화성과 지구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대략 4분 정도의 통신 지연 시간이 생긴다. 
즉 실시간으로 로버를 조정 할 수 없는데, 이를 어떻게 소프트웨어로 극복했는지 궁금하다. 

현재 화성에 있는 오퍼튜니티는 놀랍게도 아직 살아 있는데 (
 스피릿은 얼마전에 작동을 멈췄다.)

오퍼튜니티에 있는 소프트웨어는 새로운 탑사선 호기심군에 탑재될 소프트웨어이다. 테스트를 위해 화성에 있는 탐사선에 먼저 깔아보게 한 것이다.

호기심군을 움직이는 소프트웨어는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궁금한데... 홈페이지를 조금 더 살펴봐야 겠지만 그에 대한 설명이 나온 것은 거의 없다. 논문을 찾아봐야 하나?

아무튼 호기심군은 올해 가을 쯤 발사될 예정이다. 착륙까지 대략 10개월 정도의 기간이 있는데 아마도 나사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은 조금 더 개선된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로버가 안전하게 착륙하면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전송할 것이다.




<사람과 호기심군의 크기 비교>
Posted by 평면우주
study2011. 7. 18. 18:11

구글맵에서 원하는 위치에서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javascript:void (prompt('', gApplication.getMap().getCenter()));



코드를 분석 해 보면.
일단 gApplication이 눈에 띄는데 이는 구글 Web Application의 Object를 가리킨다.
getMap()은 현재 맵의 object를 가져오게 하고.
getCenter()는 맵의 center를 가져온다. (경도 위도)

모두 예상하셨겠지만. 지도의 가운데의 경도, 위도 뿐만 아니라. size 및 zoom 값도 가져올 수 있다.

javascript:void (prompt('', gApplication.getMap().getSize()));
javascript:void (prompt('', gApplication.getMap().getZoom()));



이외예도 여러가지 API를 지원하는데 자세한 사항은 아래 URL을 참고

http://code.google.com/intl/ko-KR/apis/maps/
Posted by 평면우주